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1 04:47
본문
Download :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hwp
③수업과정에서 일어나는 행동이 아니…(투비컨티뉴드 )
본 자료는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에 대해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예를 들면, 구별한다, 열거한다, 계산한다 등의 행위동사는 직접 觀察(관찰) 될 수 있는 동작을 묘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동사를 사용해서 진술된 目標(목표)는 행동目標(목표)에 속한다.
이러한 구체적 교수目標(목표) 진술의 조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학습을 통해 alteration(변화) 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觀察(관찰) 될 수 있는 외현적 행동으로 진술한 目標(목표)를 觀察(관찰) 가능한 目標(목표) 또는 행동 目標(목표)(behavioral objectives)라고 한다. 행동目標(목표)는 학습결과를 직접 觀察(관찰) 할 수 있도록 행위동사를 사용해서 진술된 目標(목표)이기 때문에 명세화의 수준으로 말한다면 구체적 교수目標(목표)에 속한다.교육목표의행동적표현 ,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Download :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hwp( 56 )
본 자료는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에 대해 조사요약한 리포트입니다.
①觀察(관찰) 될 수 있는 행동으로 표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해한다, 파악한다 등과 같이 직접 觀察(관찰) 될 수 없는 내재적 행동으로 진술된 目標(목표)를 일반적 目標(목표)라고 한다.
구체적 교수目標(목표)로서의 행동目標(목표)
교육目標(목표) 또는 교수目標(목표)는 그것이 진술되는 세분화와 명시성의 정도에 따라 일반적 교수目標(목표)와 구체적 교수目標(목표)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교수目標(목표)의 진술내용과 표현이 추상적이고 포괄적이어서 일반성의 수준이 높으면 일반적 교수目標(목표)라 하고, 반면에 진술내용과 표현이 구체적이고 명시적이어서 명세성의 수준이 높으면 구체적 교수目標(목표)라고 한다.
②행동은 교사의 행동이 아니고 학습자의 행동으로 묘사되어 있어야 한다. 교사가 어떻게 하겠다고 해서 학생이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교수활동의 목적은 학생이 무엇을 ‘할 수 있다!’라는 사실에 귀착되므로, 행동目標(목표)라고 했을 경우 그것은 반드시 학습자의 행동으로 진술할 것을 요구한다.
교육목표의 행동적 표현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교육목표의행동적표현





다.
: ‘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게 한다’라는 교수目標(목표)와 ‘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라는 교수目標(목표)를 비교해보자. 전자는 교사의 행동으로 진술되어 있으며, 후자는 학습자의 행동으로 진술되어 있다 수업시간에 교사가 학생으로 하여금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교수의 수단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