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사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08:40
본문
Download : 지방사 연구_2034871.hwp
‘지방사’ 라고 하면, ‘향토사‘, ’지history‘ 라는 말과 함께 혼용이 되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Japan에서는 이 세 가지를 모두 구분하여 쓰고있으며, 우리 나라도 이러한 Japan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구분을 하긴 하지만 ’지history‘와 ’지방사‘는 구분을 거의 하지 않고 ’향토사‘와는 구분을 한다. ‘지방사‘는 ‘지history‘와 같은 의미로서 사회단위의 지방사로부터 연구를 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자신의 고장에 대한 우월 의식이 있다아 그렇기 때문에 과학적, 보편적 서술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지방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등 지방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의 지방사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예체능,레포트
지방사연구1
현 시대에서 지방사를 연구한다는 것은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필수입니다.
2. 한국에서의 지방사 연구
(1)근대 이후 지방사 연구의 history
① 한말 읍지의 편찬 (1871, 1895년)
② 1920년대 이후 조선인들에 의한 읍지의 편찬
- 1914년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전국적으로 340여개의 군이 230개로, 5000여개의 면이 2,500개로 조정 개편됨. 이에 따라 새로운 읍지 편찬이 필요하다는 여론과 조선총독부의 1920년대 文化(문화)정책의 일환인 유교진흥책에 의해 각지에서 읍지 편찬이 성행함.
③ Japan인들에 의한 지방지 편찬 - 주로 Japan인 이주의 現況(현황) 을 기록.
**명치 년간 ; <仁川事情> (명치25, 靑山好惠), <조선국원산출장복명서> (명치 28, 적木余三男), <제주도現況(현황) 일반>(명치 40, 한국세감부 재정감사청), <富之群山>(명치40, 군산신보사), <평양요람>(명치 42), <경성과 내지인>(명치 43), <경북요람>(명치 43, 대구신문사) <최근강경사정>(명치 44), <전라남도해안및도서의 상황> 등
**대정 연간 ; <대구일반…(생략(省略))
설명
현 시대에서 지방사를 연구한다는 것은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필수입니다.
향토사는 향토에서 출발하여 향토에 대해 애정이 있는 사람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그러므로 지방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등 지방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의 지방사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레포트/예체능
지방사 연구
1. 지방사란?
(1)연구목적과 방향
(2)용어구분
(3)영국 레스터 학파의 지방사 연구
2. 한국에서의 지방사 연구
(1)근대 이후 지방사 연구의 history
(2) 지방사 연구의 방법
(3) 지방사연구의 대상과 방법 -reference(자료)정리(整理) 를 중심으로-
(4) 근현대사 reference(자료)의 정리(整理)
3.이러한 지방사 연구 활성화를 위해
먼저 지방사 연구에서 부딪히는 것은 용어의 문제이다. 미화와 과장이 들어가기 때문일것이다
지방사는 향토사에서 좀 더 객관적으로 한 단계 발전한 상태이다.지방사연구1 , 지방사 연구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지방사 연구_2034871.hwp( 54 )
순서






다. 그러나 ‘지방사‘ 라고 하면 중앙 종속적 의미가 있으므로 ‘지history’라고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나 history학계에서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 실정이다.